관리도(Control Chart)는 이름 그대로를 들으면 업무관리에 관련된 모든 도표가 될 수 있겠다. 그러나, QC 7 도구의 관리도는 예외관리(Management by Exception)을 목적으로 한다. 대개는 적정 범위의 상부 및 하부 관리점을 설정하고, 측정된 품질 수준이 그 내부에 존재할 때는 합격으로, 한계를 벗어날 경우는 불합격으로 판단하여 그 이유를 분석하게 된다.
회사의 품질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상/하부 관리점을 더욱 표준수준으로 근접시키는 노력이 진행될 것이고, 편차가 작을 수록 더욱 높은 품질 수준을 달성한 것이 될 것이다. 100만개중에 단지 3~4개의 불량만 예견되는 수준을 우리는 6시그마라고 부른다. 아래의 그래프를 우측에서 투영하였다고 보면, 그 모양이 종모양의 정규분포 곡선형태가 되어야 한다. 종이 중심으로 모이고 길쭉할 수록 품질 수준이 높은 수준이 된다. 상/하부 한계를 넘은 동그란 표시부분이 전체 모집단의 100만개중 3,4 건에 그칠 경우 6시그마 수준이 된다.
'3.Training Center > Quality Manage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참고자료]SCM 도입의 필요성 (0) | 2010.02.08 |
---|---|
[용어정리]독립변수, 통제변수, 종속변수 정의 (0) | 2010.01.19 |
[QC도구-6]산포도 (0) | 2010.01.19 |
[QC도구-5]히스토그램 (0) | 2010.01.19 |
[QC도구-4]체크 리스트 (0) | 2010.01.19 |